공원의 깜짝소식(1) - 반가운 여름비 손님

운영자
2024-07-25
조회수 198


반가운 여름비 손님

글 박바로가 회원


요새 비 소식이 자주 들려옵니다. 그런데 이 비가 내리면 얼굴을 뾰족 내미는 주인공이 있습니다. 누굴까요? 예전에 비온 후에 식재료를 구하러 소나무 밑이나 참나무 밑을 찾아보던 분들은 이 말이 무슨 말인지 금방 아실지도 모르겠습니다.

사실, 농약 사용이 보편화되기 전에는 여름비만 오고 나면 식탁에 올라올 음식 재료가 반갑게 모자를 쓰고 불쑥 나타나곤 했습니다. 네, 맞습니다. 여름비엔 버섯이 봄철 죽순처럼 하루가 다르게 쑥쑥 자라납니다. 


저도 이번 장맛비가 잠깐씩 그칠 때마다 영등시민공원에서 산책을 다녔습니다. 새벽 6시-아침 8시 30분까지 긴 시간 동안 공원 여기저기를 둘러보면서 새로 나온 식구들에게 얼굴 도장을 찍고 다녔습니다. 올해는 목이버섯이 아직 안 나왔지만, 항상 단골손님처럼 얼굴을 내미는 광대버섯, 무당버섯, 주름볏싸리버섯, 적갈색관속버섯, 배꽃버섯속이 옹기종기 자기들끼리 키재기 놀이를 즐겁게 하고 있었습니다.


여름에만 볼 수 있는 반가운 얼굴들이라 하루 사이로 혹시 놓칠까 해서 비만 그치면 공원으로 뛰어나가 여기저기 들쑤시고 그들을 만나러 다녔습니다. 오뉴월 눈 만난 개가 눈을 신기해하며 반가워하는 것처럼, 저 또한 올해 처음 보는 버섯들 잔치에 초대장도 없이 여기 기웃, 저기 기웃한 셈이지요.


아쉽게도, 어머니가 예전에 드셨던 솔버섯, 먹버섯 등은 주변에 보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영등시민공원에는 꽤 다양한 버섯이 여기저기 군락을 이루면서 올망졸망 모여 있습니다. 그런데 이 모습이 참으로 보기 좋습니다. 사실, 그 버섯이 식용이든 아니든, 도심 속의 작은 공원에서 여러 다양한 버섯이 흩어져 나 있는 것 자체가 참 신기하고 신비롭기까지 합니다.

그 중, 광대버섯이나 무당버섯은 독버섯 종류인데 꽤 개체수가 많습니다. 특히, 무당버섯은 특유의 붉은 색 갓을 쓰고 있어서 지나가다가도 쉽게 눈에 들어옵니다. 


그런데 이번에 광대버섯 아재비를 기웃거리는데 버섯대를 잡고 털매미가 우화한 것을 찾게 되었습니다. 매미류는 비가 와서 땅이 부드러워지고 난 후에 땅 위로 구멍을 뚫고 올라와 주로 나무에 기어 올라와서 우화를 합니다. 새의 눈을 피해 밤에 움직여서 나무에 매달린 채 말랑말랑한 몸을 딱딱하게 굳히지요. 그런데 털매미가 그 전날 비 오는 밤에 땅 위로 올라와서 이 광대버섯 아재비를 붙잡고 우화를 했던 것이지요. 이것을 보면, 참으로 생명이라는 것은 오묘할 정도로 예기치 못한 방식으로 태어나는 것 같습니다. 그 작은 몸으로 비를 피하면서 버섯대를 부여잡고 자신의 껍질을 깨트렸을 털매미를 생각해보니 잠시 숙연해지기까지 하더군요. 어쩌면 그 털매미에겐 자기보다 조금 더 큰 독버섯이 자신의 가장 연약하면서도 가장 중요한 순간을 든든하게 보호해줄 하나밖에 없는 보호인이었겠구나 하는 생각도 들더군요.


어쩌면 이런 소소한 방식으로 식물과 동물은 그 긴 역사 동안 서로 기대고 살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불현듯 하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보면 지구상에 이유 없이 태어나 그냥 의미 없이 스러지는 생명체는 없겠구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비록 털매미나 버섯은 아주 작은 것이지만, 그 작음이 무시할 수 없으리만큼 크게 다가오는 것은 아무도 말로 설명할 수 없는, 생명의 신비에서 시작되는 것이지요. 이번 여름 장마를 지내면서 올해도 무수히 많은 버섯들이 피고 지고 할 것입니다. 그러면서 다른 동식물을 흙으로 돌려보내거나 우연히 도와주거나 하면서 자기의 일을 묵묵히 해낼 겁니다. 그들만의 방식으로.


 (주의사항) 땅에서 나는 버섯 중에 60%는 독버섯일 가능성이 큽니다. 나무에 나는 버섯은 잔나비불로초, 한입버섯, 표고버섯, 목이버섯, 말굽버섯, 상황버섯, 노루 궁뎅이 버섯, 운지버섯, 조개버섯속 등과 같이 거의 90%가 식용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 중에서 몇 개는 약용으로도 쓰입니다. 그렇지만 이런 버섯을 구별하는 것은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아무데서나 혹은 아무것이나 채집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2024년 7월부터 뉴스레터에 자연환경생태 분야로 연재됩니다.


익산참여연대


대표  장시근

사업자등록번호  403-82-60163

주소 54616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익산대로 307(모현동 1가)

이메일  ngoiksan@daum.net

대표전화  063-841-3025


ⓒ 2022 all rights reserved - 익산참여연대